Chapter 1 사회복지실천기술의 개관
1. 사회복지실천의 특성
2. 사회복지사의 길을 선택한 동기에 관한 성찰
3. 사회복지실천기술의 개념에 대한 이해
Chapter 2 다양한 사회복지실천모델
1. 심리사회모델
2. 과업중심모델
3. 위기개입모델
4. 인지행동모델
5. 해결중심모델
6. 동기강화모델
Chapter 3 개인 대상 사회복지실천기술
1. 분위기조성 실천기술 영역
2. 기초 실천기술 영역
3. ‘지지’를 위한 실천기술 영역
4. ‘영향을 주는 실천기술’ 영역
5. 도전실천기술 영역
6. 교육 및 훈련기술 영역
7. 중재 및 협상기술 영역
8. 실천개입의 실패원인에 대한 고찰
Chapter 4 집단 대상 사회복지실천의 이해
1. 집단 대상 사회복지실천의 이점
2. 집단 대상 사회복지실천의 정의
3. 집단의 종류
4. 집단 대상 사회복지실천의 접근 방법
5. 집단이론
6. 집단역학
Chapter 5 집단 대상 사회복지실천의 과정
1. 집단사회복지실천의 계획
2. 집단 사정 단계의 특징과 과업
3. 집단사회복지실천기술
4. 집단 대상 사회복지실천의 사례
Chapter 6 가족 대상 사회복지실천의 이해
1. 가족에 대한 이해
2. 가족 사정
Chapter 7 가족 대상 사회복지실천기술
1. 초기 단계
2. 중간 단계
3. 종결 단계
Chapter 8 사회복지기록
1. 사회복지실천에서 기록의 활용
2. 기록 내용
3. 사회력
4. 기록의 형태
5. 기록 시 유의 사항
<부록> 사회복지실천 각종 양식
한파가 매섭고, 코로나는 여전히 기승을 부리고 있다. 우리 사회에 몰아친 이 혹독한 추위는 모두를 움츠리게 한다. 겨울에도 푸른 상록수가 있지만, 겨울한파를 견디기는 어려운 내한성이 약한 나무들도 아주 많다. 나무를 사랑하는 정원사는 겨울 나목(裸木)의 표피를 천으로 따뜻하게 감싸준다. 앙상한 겨울 나목도 봄이 되면, 싹을 틔워 가지마다 황금빛 애기 새순이 돋아날 것이라는 희망을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 이 ‘정원사의 마음’이 ‘사회복지사의 마음’과 정확하게 오버랩핑(overlapping) 된다.
사회복지사는 클라이언트의 문제를 개인이 아닌, 사회(환경)적 맥락에서 바라본다. 이러한 사회복지사의 시각은 타 원조 전문직(예: 상담사, 심리치료사, 정신과의사 등)과 구별되는 특성이기도 하다. 최근에 발생된 일련의 사회적 충격들(코로나 감염병, 실직, 취업난, 집값폭등, 전세난 등)이 우리사회의 많은 구성원들을 사회적 취약자로 내몰고 있다.
사회복지사의 서비스가 필요한 사람들이 점점 더 늘어나고 있다. 최근 공적 영역과 사적 영역 모두에서, 사회복지사들이 일할 자리들은 크게 확장되고 있다. 사회복지사의 전문성과 역할에 대해서 우리 사회가 그만큼 인정하고 있기 때문이다. 사회복지사에 대한 우리 사회의 높은 기대에 우리도 부응해야 할 것이다. 이번에 이 책의 전 필진이 한마음으로, 사회복지실천기술론 [개정판]을 내야겠다는 결정을 하게 된 것도 바로 이러한 맥락에서 이루어졌다.
[사회복지실천론] 내용과 중첩된 일부 내용(사회복지실천과정, 생태체계적 모델 등)은 이번 개정판에서는 삭제하였다. 그 대신 개인을 대상으로 한 실천개입에서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실천기술들에 대한 내용은 크게 보완되었다. 그리고 새로운 실천모델(동기강화모델)도 추가하였습니다. 개정판은 총 8장으로 구성되었다. 각 장의 주요 내용과 이번 개정판에서 보완된 내용을 간략하게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제1장 개관 1절에서는 타원조 전문직과 구별되는 사회복지실천의 특성에 대한 여러분의 이해를 높이기 위해서 사례를 제시하면서 사회복지실천의 특성을 논의하였다. 2절에서는 ‘사회복지사의 길’을 선택한 동기에 대해서 성찰해 볼 수 있도록, “나는 왜 사회복지사의 길을 선택했는가?”라는 화두를 던지면서, 여러분이 진솔한 자기개방을 해 볼 수 있는 과제도 함께 제시하였다. 마지막 3절에서는 “사회복지실천기술은 무엇인가?”라는 질문에 여러분 각자가 답을 제시할 수 있도록, 사회복지실천기술의 개념을 소개하였다.
제2장에서는 다양한 사회복지실천모델로, 심리사회모델, 과업중심모델, 위기개입모델, 인지행동모델, 해결중심모델, 동기강화모델 등(6개)을 소개하였다. 이번 개정판에서 실천론 내용과 중복되는 생태체계모델, 그리고 개별과목으로 구분되고 있는 사례관리모델은 삭제하였다. 대신에, ‘동기강화모델’을 새로 추가하였다. 동기강화모델은 특히 방어적이고 비자발적인 클라이언트를 위한 개입에 유용하게 활용되고 있다. 클라이언트의 양가감정을 탐색하고 해결함으로써, 클라이언트의 내면에 갖고 있는 변화동기를 강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동기강화모델은 최근 실천현상에서도 널리 보급되어 활용되고 있다. 각 실천모델을 실제에 적용하기 위해 필요한 기술 및 기법, 실천과정에 초점을 두었으며, 실제에서 어떻게 모델이 적용되는지 이해를 돕기 위해서 사례도 함께 제시하였다.
제3장은 ‘개인’을 대상으로 한 사회복지실천기술에 관한 내용이다. 본 개정판에서는 전서(2017년)에서 간과했던 일부 실천기술들을 충실히 보완하여, 내용을 크게 확장하였다.
개인을 대상으로 한 다양한 실천기술들을, 그 특성과 기능에 따라, 8개 하위영역, 즉 ‘분위기조성기술’(climate-setting skills) 영역, ‘기초실천기술’ 영역, ‘지지기술’ 영역, ‘영향기술’(influencing skills) 영역, ‘도전기술’(challenging skills) 영역, 교육훈련기술, 중재 및 협상기술영역, 의뢰기술 등으로 구분하였다. 각 하위 영역별로 해당하는 관련 실천기술들(34개)을 각각 설명하였다. 각 개별 실천기술마다 개별 예시를 제시한 것은 물론, 다양한 실천기술들이 함께 활용된 사례도 제시하였다. 제시된 사례를 공부하면서, 사례에 개입하는 사회복지사가 어떤 상황에서 어떻게 다양한 실천기술들을 활용해야 하는지에 대한 여러분(독자들)의 이해를 높일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된다. 부가하여, 각 실천기술들의 기능 및 목적을 설명하면서, 실천기술들 간의 공통점과 유사점에 대한 내용도 함께 언급하였다.
제4장과 제5장은 ‘집단’을 대상으로 한 사회복지실천에 관한 내용이다. 제4장에서는 집단대상 사회복지실천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위해서, 사회복지실천현장에서 집단이 가지는 의미를 살펴보고, 집단사회복지실천의 기초로서 집단실천모델, 집단역학을 소개하였다.
제5장에서는 집단 대상 사회복지 실천과정에 대해 설명하였다. 이번 개정판에서는 집단 대상 사회복지실천의 사례 내용을 일부 수정·보완하였다. 집단활동의 목적을 반영하여, 성장집단에 대한 내용과 치료집단에 대한 내용을 균형 있게 소개하였다. 지역아동센터 이용 아동의 자아존중감 향상을 위한 집단프로그램, 사례와 치매노인 우울감소를 위한 집단프로그램 사례 내용을 보완하였다.
제6장과 제7장은 ‘가족’을 대상으로 한 사회복지실천기술에 관한 내용이다. 제6장에서는 최근의 가족 동향과 가족 유형, 가족의 기능과 구조, 그리고 가족생활주기 등을 소개하였다. 이번 개정판에서는 가계도를 이용한 가족사정에서 제시된 ‘사회적 연구가족’ 사례 내용을 재구성하여 수정하였다. 제7장에서는 가족을 대상으로 한 사회복지실천에서 적용되는 개입 원리와 개입 기법을 초기단계, 중간단계, 종결단계로 나누어 비교적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개정판에서는 중간단계에서 활용할 수 있는 개입기술들 중에서, ‘삼각관계와 탈삼각화’, 그리고 ‘문제의 외현화’에 대한 내용을 독자가 좀 더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내용을 수정한 후 자세히 설명하였다.
항상 강조해 왔듯이, 사회복지실천에 대한 지식(이론)과 실천가치, 그리고 실천기술은 사회복지실천에서 분리될 수 없는 하나의 통합체(entity)이다. 사회복지실천을 위한 전문지식과 실천가치에 대한 견고한 이해가 뒷받침되지 않은 채, 실천기술 훈련만으로는 실천역량이 제대로 발휘될 수 없다. 다른 한편, 사회복지실천 지식과 실천가치에 대한 이해가 견고할지라도, 실천기술이 발휘되지 않는 한 사회복지실천은 이루어질 수 없다는 것 또한 자명한 사실이다. ‘사회복지실천기술’이 사회복지실천이라는 output을 실제로 가능케 할 수 있게 하는 결정적인 input이라는 사실에서, 실천가(practitioner)인 사회복지사에게 있어서, ‘사회복지실천기술’의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결코 부족함이 없을 것이다.
집필진은 대부분은 다양한 사회복지현장에서 직접 실천 업무를 수행하면서 터득한 실천적 지혜(practical wisdom)를 이 책에 반영하려 노력하였다. 이 책은 미래의 사회복지사의 길을 걸어가고 있는 사회복지학도는 물론, 다양한 현장에서 개인, 가족, 그리고 소집단을 대상으로 직접실천 업무를 수행하고 있는 사회복지사들에게도 실천기술역량을 높일 수 있는 좋은 길잡이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경북대학교에서 정년을 마치고 캠퍼스를 떠난 지도 3년이 되었다. 이번에 이 책의 개정판을 집필하기 위해서, 사랑하는 옛 제자들과 다시 함께할 수 있다는 것이 큰 축복으로 느껴진다.
대표 신성자
숙명여자대학교 영어영문학과 졸업
Portland State University U.S.A. 사회사업학 석사
University of Pennsylvania U.S.A. 사회사업학 박사
전) 홀트아동복지회 H.I.C.S.(미국) 담당 사회복지사
현) 경북대학교 사회복지학과 명예교수
고유나
경북대학교 사회복지학과 졸업
경북대학교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석사 졸업
경북대학교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박사 졸업
전) 경북대학교병원 정신보건사회복지사(수련 슈퍼바이저)
현) 가톨릭상지대학교 사회복지과 교수
김수정
경북대학교 사회복지학과 졸업
경북대학교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석사 졸업
경북대학교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박사 졸업
전) 가정복지회 구미위기가정지원센터 상담실장
현) 영남신학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교수
박용권
경북대학교 사회복지학과 졸업
서울대학교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석사 졸업
서울대학교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박사 수료
전) 서구제일종합사회복지관 관장
현) 동양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교수
성희자
경북대학교 사회복지학과 졸업
경북대학교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석사 졸업
경북대학교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박사 졸업
전) 경북대학교병원 사회사업실장
현) 경북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교수
이원준
경북대학교 음악학과 졸업
경북대학교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석사 졸업
경북대학교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박사 졸업
현) 창신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교수
전보경
경북대학교 사회복지학과 졸업
경북대학교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석사 졸업
경북대학교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박사 졸업
전) 대구광역시 사회복지전담공무원
현) 경북도립대학교 사회복지과 교수
정숙희
경북대학교 사회복지학과 졸업
경북대학교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석사 졸업
경북대학교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박사 졸업
전) 대동병원 정신보건과장
현) 클럽하우스 브솔시냇가 시설장
현) 한동대학교 상담심리사회복지학부 교수
최은지
경북대학교 사회복지학과 졸업
경북대학교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석사 졸업
경북대학교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박사 수료
전) 영남권역 해바라기아동센터 사회복지사
현) 포항대학교 사회복지과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