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성원
사회복지학

사회복지프로그램 개발과 평가-제3판

저자 : 박경일, 윤기혁, 박승기, 권진아, 임혜수, 김새봄 저자: 박경일, 윤기혁, 박승기, 권진아, 임혜수, 김새봄 ISBN : 979-11-6126-537-7 ISBN: 979-11-6126-537-7 정가 : 23,000 정가: 23,000 출간일자 : 2023-08-18 출간일자: 2023-08-18

도서목차

Chapter 01 사회복지 프로그램의 개념과 구성요소
1. 사회복지 프로그램의 정의 13
2. 유사 개념과의 구별 19
3. 프로그램의 기본적 구성요소 25
참고문헌 33

Chapter 02 사회복지 프로그램의 유형
1. 대상별 유형 40
2. 기능별 유형 42
3. 구성체계별 유형 44
4. 재원조달 방법에 따른 유형 46
5. 공급주체에 따른 유형 46
6. 최신 사회복지 프로그램 경향 48
참고문헌 58

Chapter 03 사회복지 프로그램 개발의 개념과 모형
1. 사회복지 프로그램 개발의 정의와 성격 63
2. 사회복지 프로그램 개발의 모형 67
3. 사회복지 프로그램 개발의 원리와 영향요소 71
참고문헌 81

Chapter 04 사회복지 프로그램 개발 과정
1. 문제 확인과 욕구사정 89
2. R: 자원체계의 확인 89
3. O: 목적 및 목표 설정 90
4. 자료수집과 대안선택 91
5. R: 실천계획의 묘사 91
6. A: 실천 활동과 실행 92
7. M: 측정 및 평가 92
참고문헌 94

Chapter 05 문제 확인과 욕구사정
1. 사업명 작성방법 100
2. 대상자의 욕구나 문제점 102
3. 지역환경적 특성 117
참고문헌 119

Chapter 06 자원체계 확인
1. 서비스 대상자 선정 123
2. 인적·물적자원의 검토 134
3. 기관제한 조건의 파악 138
4. 활용 기법 및 사례 139
참고문헌 144

Chapter 07 목적 및 목표 설정
1. 목적과 목표의 개념과 특성 149
2. 목표의 유형 152
3. 목표 설정의 방법 156
4. 힘의 장 분석기법 166
참고문헌 169

Chapter 08 자료수집과 대안선택
1. 자료수집 173
2. 대안선택 188
3. 자료수집과 대안선택의 방법 194
참고문헌 206

Chapter 09 실천계획의 묘사
1. 정의 및 필요성 211
2. 절차 212
3. 활용기법 및 사례 231
참고문헌 241

Chapter 10 실천 활동과 실행
1. 프로그램 실행의 정의와 개념 245
2. 프로그램 실행의 원리 247
3. 프로그램의 실행을 위한 구성요소 248
4. 프로그램 실행 활용기법 249
5. 프로그램 모니터링 253
6. 프로그램 수퍼비전 259
참고문헌 266

Chapter 11 사회복지 프로그램의 측정 및 평가 개념과 의의
1. 사회복지 프로그램의 측정 및 평가의 개념과 목적 271
2. 사회복지 프로그램 측정 및 평가의 필요성 274
3. 사회복지 프로그램 평가의 유형 275
4. 평가의 활용과 사례 연구 279
참고문헌 288

Chapter 12 사회복지 프로그램 평가의 기준과 도구
1. 평가의 기준 293
2. 평가도구 304
3. 사회복지시설의 평가 기준 313
참고문헌 322

Chapter 13 로직모델
1. 로직모델 등장배경과 개념 327
2. 로직모델의 필요성 329
3. 로직모델의 구성요소 331
4. 로직모델과 성과측정 337
5. 로직모델의 장점과 한계 341
참고문헌 343

Chapter 14 사회복지 프로그램 실제
1. 사회복지공동모금회 프로포절 신청 및 선정기준 347
2. 사회복지공동모금회 프로포절 작성 사례 351
3. 아산사회복지재단 지원사업 양식 382
참고문헌 389​

도서소개

사회복지직을 전문직이라고들 말한다. 일반적으로 전문직으로서 가져야 할 3대 속성으로서 가치(value), 이론(knowledge), 기술(skill)을 강조한다. 사회복지학은 종합학문으로서 다양한 사회 과학의 제반 이론들을 받아들이고 있고 사회복지사들은 그 어떤 다른 전문직들과 마찬가지로 사회적 책임에 대한 소명의식과 인간에 대한 이해와 헌신을 요구하고 있고 대학에서도 사회복지의 윤리와 철학으로서 가르치고있다.
그런데 사회복지직에서 기술을 이야기할 때는 다소 망설여진다. 과연 사회복지직 만의 정체성을 나타낼 수 있는 어떠한 전문적 기술이 있을까 하고 말이다. 
그리하여 집필자 대표인 나는 사회복지사의 정체성을 나타낼 수 있는 다양한 전문적 기술들 가운데 하나로서 사회복지사가 도움을 필요로 하는 사람들을 위하여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과학적으로 평가하는 기술, 즉 사회복지 프로그램 개발과 평가가 전문성을 지닌 실천기술이라고 생각하고 있다.
그리하여 「사회복지사업법 시행령」 제6조에 의하면 ① 법 제13조 제1항 본문에 따라 사회복지법인 또는 사회복지시설을 설치·운영하는 자는 해당 법인 또는 시설에서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업무에 종사하는 자를 사회복지사로 채용하여야 한다. 다만, 법 제2조 제1호 각 목의 법률에서 따로 정하고 있는 경우에는 그에 의한다.<개정 1999.10.30., 2008.10.28., 2011.5.12.>
1. 사회복지 프로그램의 개발 및 운영 업무
2. 시설거주자의 생활지도 업무
3. 사회복지를 필요로 하는 사람에 대한 상담 업무 
여기서 우리는 사회복지사가 해야 할 일이 크게 세 가지임을 알 수 있고 그 역할 가운데 첫째가 사회복지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운영하는 일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사회복지사는 개인 및 사회문제를 해결하거나 개인이나 사회의 욕구를 충족시켜 줄 수 있는 창의적이고 실천 가능한 사회복지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운영하며 평가 할 수 있는 역량을 겸비해 나가야 할 것이다.
이러한 도전과 과제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사회복지 프로그램에 대한 이론뿐만 아니라 구체적으로 실행 가능한 실천기술들을 습득할 수 있는 교육과정과 훈련이 요구된다. 그리하여 집필자들은 기존에 출간된 이론적인 사회복지 프로그램의 지식과 가치와 기술의 습득에 부가하여 학생들이 직접적으로 업무에 활용 가능한 기술의 습득에 초점을 두었다. 즉, 집필자들은 학생들이 수업시간에 사회복지 프로그램의 이론과 가치와 기술을 이해하고 난 후, 개개인이 직접적으로 프로그램을 설계하고 작성하여 사회복지실천현장과 업무에 활용할 수 있는 교재를 집필하고자 의도하였다.
따라서 본서의 집필자들은 사회복지 프로그램을 사회복지 프로그램의 이론적 이해와 프로그램 개발 과정, 프로그램 평가, 사회복지 프로그램의 실제라는 4가지 분야에서 접근하여 총 14장으로 구성하였다. 즉, 사회복지 프로그램의 이론적 이해에서는 기존 저서들에 기술되어 있는 사회복지 프로그램의 개념과 구성요소, 사회복지 프로그램의 유형, 사회복지 프로그램 개발의 개념과 모형의 3장으로 구성하였다. 그리고 프로그램 개발 과정은 집필자 대표인 박경일 교수가 개발한(1998) 이 책의 표지에 있는 PROGRAM의 머리글자를 활용한 7단계(세부적으로는 23단계)로 구분하여(전체 4장부터 11장으로) 구성하였다. 그리고 프로그램 평가는 사회복지 프로그램의 측정과 평가 개념과 의의, 사회복지 프로그램 평가의 기준과 도구를 11장과 12장으로 구성하였다. 사회복지 프로그램의 실제는 최근 사회복지기관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는 로직모델의 소개(13장)와 14장에서 사회복지 프로그램 실제로서 사회복지공동모금회 프로포절 신청 및 선정기준, 사회복지공동모금회의 프로포절 작성 사례, 기업 사회공헌 지원사업 양식을 소개하여 현장 감각과 실무 적용 능력을 습득할 수있도록 노력하였다.
한편 2019년 개정판에서는 다음 세 가지에 주안점을 두고 개선하고자 노력하였다. 먼저 2018년도부터 새롭게 변경된 사회복지공동모금회의 사업계획서 양식을 참조하여 실제 작성 방법을 소개하였다. 그리하여 학생 및 현장 사회복지사들로 하여금 사회복지공동모금회의 사업계획서 작성방법에 대한 새로운 정보를 이해하고 2018년 이전의 사업계획서 작성방법과 비교해 볼 수 있도록 정리하였다. 또한 본 개정판에서는 프로그램 개발과 평가의 현장감을 더욱 높이기 위하여 각 장의 키워드에 보다 적합한 최신 사례로 변경하였다. 끝으로 프로그램 개발과 평가와 관련해서 최근 1급 국가고시 시험문제를 수록함으로써 학생과 사회복지사 1급 시험을 준비하는 분들에게 다소나마 그 동향과 중요성을 파악하는 데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2023년 제3판 개정에서 저자들이 주안점을 두고 개정한 내용은, 코로나19의 영향으로 사회복지실천 현장에서 비대면 프로그램이 증대하고, 4차산업혁명 시대의 주요 특징인 빅데이터, AI(인공지능), 로봇, IOT 등을 활용한 우수 프로그램을 찾아서 소개한 부분이다. 그리하여 저자들은 최근의 사회복지기관들이 시행하고 있는 우수 프로그램에서 각 장의 주제와 일치하는 챗GPT 및 빅데이터의 활용과 디지털 복지, 생태복지, 재난 안전관리, 스마트 복지, 증거기반 프로그램, 로직모델 등의사례를 소개하였다. 나아가 저자들은 각 장의 주제에 맞는 우수 프로그램 사례들을 업데이트하고 프로그램 개발과 평가 기법들을 업그레이드하고자 노력하였다. 그리하여 독자들이 최근의 사회복지 환경변화에 적응하는 데 도움이 되고, 프로그램 대상자들에게 도움이 될 수 있는 창의적인 프로그램의 개발과 우수한 프로포절 작성에 자그마한 보탬이 되고자 노력하였다.
본서의 출간이 사회복지를 공부하는 학생, 사회복지 전담공무원 및 사회복지정책 기획가, 휴먼서비스 분야(복지, 보육, 상담, 보건, 의료, 케어 등)에 종사하는 실천가들에게 사업계획서 작성과 프로포절 제안에 가치가 있기를 바라며, 또한 한국 사회복지실천의 발전에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기를 바라는 마음이 간절하다. 더욱이 집필자 대표는 스승으로서 본서를 제자들과 함께 공동 출간하게 되어 보람과 뿌듯함을 느끼며 자랑스럽게 생각한다.
본서는 2016년 초판을 기반으로 하여 그동안 강의하면서 부족한 부분을 2019년, 2023년 개정판에서 보완하고자 노력하였으나 아직도 집필자들의 능력 부족으로 많은 부분에 걸쳐 부족함과 한계가 있다고 사료된다. 앞으로 휴먼서비스 분야의 종사자, 연구자 및 실천가는 물론 독자들의 많은 비판과 현장에 보다 적합한 실천 사례들의 피드백이 있기를 바라며 앞으로 계속 수정·보완해 나가고자 한다. 특히 본서가 Workbook인 만큼 사회복지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평가하는 데 있어서 과학적인 기법이나 기술을 직접적으로 활용하고 작성할 수 있는 역량을 강화해 나가는데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저자들은 지속적으로 노력할 것을 약속드린다. 그리하여 향후 저자들은 휴먼서비스 기관의 실제 사례나 사회복지공동모금회 및 여타 복지재단의 우수 프로포절 제안 양식 등에 대하여 집중적으로 소개하고 보완해 나갈 계획이다. 
끝으로 사회복지 각 분야별 서적을 집중적으로 출판하여 한국사회복지 발전에 큰 기여를 하고 있으면서도 한국사회복지 발전을 위하여 본서의 출간을 기꺼이 맡아 주신 양성원의 강철원 사장님과 직원 여러분에게도 깊은 감사를 드린다.​

저자소개

박경일
부산대학교 대학원 행정학박사(사회복지정책 및 행정 전공)
전, 동국대학교 사회과학대학원 원장, 사회대학 학장 역임
현, 동국대학교 사회복지학과 명예교수
<저서>
사회복지정책론, 사회복지행정론, 사회복지학 강의, 가족수당정책론,
사회복지 프로그램 개발과 평가, 자원봉사론, 휴먼서비스조직의 위험관리론 외

윤기혁
부산대학교 행정대학원 행정학과 석사(사회복지학 전공)
부산대학교 사회복지학과 박사
현, 동명대학교 사회복지학과 조교수
<저서>
사회복지학 강의, 사회복지정책론, 사회복지행정론 외

박승기
동국대학교 대학원 사회복지학박사
전, 부산복지개발원 이사
부산장애인활동지원사교육원 원장
부산평생교육원 원장
부산인구보건복지협회 대학생 자원봉사단 단장
현, 대동대학교 사회복지과 겸임교수
사회복지법인 천혜복지재단 이사장
국제구호개발 NGO "월드에이드" 이사장
부산사회복지법인협의회 이사

권진아
동국대학교 사회복지학석사
동국대학교 사회복지학박사
전, 울산광역시 여성가족개발원 연구원
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 사회복지학과, 춘해대학교 사회복지학과 외래교수
현, 국립재난안전연구원 사회재난연구센터 책임연구원
<저서>
사회복지행정론, 휴먼서비스조직의 위험관리론 외

임혜수
동국대학교 사회복지학석사
동국대학교 사회복지학박사
전, 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 사회복지학과, 창신대학교 사회복지학과 외래교수
현, 울산과학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겸임교수
행복나무연구소장
<논문>
전통놀이 프로그램이 지역아동센터 아동의 정서지능, 사회적 능력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2022),
전래놀이를 통한 유아와 아동의 정서, 사회성, 자아존중감에 관한 연구동향(2022), 전통놀이 연구의 동
향분석(2022), The effect of traditional play on the emotional intelligence, social ability, and
self-esteem of children in Korean child welfare centers: A mixed-methods study(2023) 외

김새봄
부산대학교 행정대학원 행정학과 석사(사회복지학 전공)
부산대학교 사회복지학과 박사
현, 거제대학교 사회복지과 조교수
<논문>
코로나19 상황에서 특수형태근로종사자의 일과 삶: 고용형태별 차이를 중심으로(2023) 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