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성원
사회복지학

사회복지실천론-개정판

저자 : 김현호, 박선희, 김영일, 박길남, 이규태, 이영희, 전대성, 최병태 저자: 김현호, 박선희, 김영일, 박길남, 이규태, 이영희, 전대성, 최병태 ISBN : 979-11-6126-535-3 ISBN: 979-11-6126-535-3 정가 : 23,000 정가: 23,000 출간일자 : 2023-08-20 출간일자: 2023-08-20

도서목차

Chapter 01 사회복지실천의 이해
1.1 사회복지실천의 개념 ································································································· 12
1.2 사회복지실천의 목적과 목표 ···················································································· 13

1) 사회복지실천의 목적 / 13
2) 사회복지실천의 목표 / 15
1.3 사회복지실천의 구성요소와 구성체계 및 대상 ······················································· 16
1) 사회복지실천의 구성요소 / 16 
2) 사회복지실천의 구성체계 / 18
3) 사회복지실천의 대상 / 19
1.4 사회복지전달체계의 변화와 사회복지실천의 현장 ·················································· 24
1) 사회복지전달체계의 변화 / 24 
2) 사회복지실천의 현장 / 28

Chapter 02 사회복지실천의 발달과정
2.1 서구 사회복지실천의 발달과정 ················································································· 36
1) 사회복지실천의 전문직 태동기(1900년 이전) / 37
2) 사회복지실천의 전문직 확립기(1900~1920년) / 41
3) 사회복지실천의 전문직 분화기(1920~1950년) / 41
4) 사회복지실천의 통합기(1950~1970년) / 42
5) 사회복지실천의 다양화와 확장기(1970~현재) / 43
2.2 한국 사회복지실천의 발달과정 ················································································· 45
1) 1950년대 이전 사회복지실천의 발달 / 45
2) 1950년대 이후 사회복지실천의 발달 / 47

Chapter 03 사회정의와 사회복지실천의 가치 및 윤리
3.1 사회정의에 대한 이해 ······························································································· 56
1) 인권 / 57 2) 옹호 / 58
3) 사회행동 / 61
3.2 사회복지 전문직의 가치와 윤리 및 자기성찰 ························································· 65
1) 사회복지 전문직의 가치 / 67 2) 사회복지 전문직의 윤리 / 69
3) 윤리적 딜레마의 해결 / 71 4) 사회복지사의 자기성찰 / 73
3.3 한국사회복지사의 윤리강령 ······················································································ 76
3.4 사회복지사의 자질과 역할 및 자기인식 ·································································· 80
1) 사회복지사의 자질 / 80 2) 사회복지사의 역할 / 81
3) 사회복지사의 자기인식 / 84

Chapter 04 사회복지실천의 관점 및 통합적 접근방법
4.1 사회복지실천의 관점 ································································································· 88
1) 일반체계이론 관점 / 88 
2) 사회체계이론 관점 / 92
3) 생태학적체계이론 관점 / 93 
4) 생태학이론 관점 / 96
5) 사이버네틱스이론 관점 / 97 
6) 환경 속의 인간 관점 / 98
7) 사회구성주의 관점 / 100 8) 다문화 관점 / 102
4.2 사회복지실천의 통합적 접근방법 ··········································································· 105
1) 통합적 접근방법의 개념 및 특징 / 105
2) 통합적 접근방법의 등장배경(필요성) / 106
3) 통합적 접근방법의 실천모델 / 108

Chapter 05 사회복지실천을 위한 관계 및 의사소통
5.1 사회복지실천을 위한 관계 ······················································································ 120
1) 관계의 원리 / 120 
2) 관계의 특성 / 121
3) 효과적인 관계를 위한 기본요소 / 122
4) 관계의 7대 원칙 / 126
5) 관계의 방해요인 및 대처방안 / 130
5.2 사회복지실천을 위한 의사소통 ··············································································· 133
1) 의사소통의 개념 / 133
2) 의사소통의 원리 / 135
3) 의사소통의 유형 / 136 
4) 의사소통의 유형검사 / 139
5) 기초적 의사소통 / 141
6) 언어적·비언어적 의사소통과 나 전달법 및 너 전달법 / 142
7) 의사소통을 방해하는 요소 및 언어적 반응 / 147

Chapter 06 사회복지실천과정의 초기단계(접수 및 자료수집)
6.1 학자들 견해에 따른 사회복지실천과정 ·································································· 152
6.2 사회복지실천과정의 초기단계-접수 ········································································ 154
1) 클라이언트와 신뢰관계 형성 / 157
2) 클라이언트의 참여유도 / 158
3) 클라이언트의 주호소 욕구 및 문제 확인 / 159
6.3 사회복지실천과정의 초기단계-자료수집 ································································· 163

Chapter 07 사회복지실천과정의 사정 및 계획단계
7.1 사회복지실천과정의 사정단계 ················································································· 168
1) 사정의 개념 / 168
2) 사정의 특성 / 169
3) 사정의 내용 / 170 
4) 사정의 방법 / 187
5) 사정의 도구 / 187 6) 욕구 및 문제의 우선순위 결정 / 197

7.2 사회복지실천과정의 계획단계 ················································································· 198
1) 목표설정 / 199 2) 계약체결 / 200

Chapter 08 사회복지실천과정의 실천단계 I(개인체계)
8.1 개인의 내적 변화를 위한 실천 ·············································································· 204
1) 정서적 안정과 자신감 회복을 위한 실천 / 205
2) 인지 및 행동변화를 위한 실천 / 213

8.2 대인 관계적 변화를 위한 실천 / 227
1) 문제해결 능력 향상을 위한 실천 / 228
2) 자기표현(주장) 능력 향상을 위한 실천 / 229

8.3 개인의 환경적 변화를 위한 실천 ··········································································· 234

Chapter 09 사회복지실천과정의 실천단계 II(가족체계)
9.1 가족체계 사정하기 ··································································································· 240
1) 가족체계실천의 목표수립 / 244 
2) 가족체계실천의 목표수립 예시 / 245
9.2 가족문제 변화를 위한 실천 ···················································································· 246
1) 구조적 가족치료모델 / 247 
2) 경험적 가족치료모델 / 251
3) 다세대 가족치료모델 / 255 
4) 전략적 가족치료모델 / 261
5) 해결중심 가족치료모델 / 263
9.3 가족의 환경 변화를 위한 실천 ·············································································· 265
1) 가족 외부의 환경적 실천 / 265 
2) 다양한 가족형태에 따른 실천 / 266

Chapter 10 사회복지실천과정의 실천단계 III(집단체계)
10.1 집단에 대한 이해 ·································································································· 270
1) 집단의 개념 / 270 
2) 집단의 목적 / 271
3) 집단의 유형 / 272 
4) 집단실천의 모델 / 278

10.2 집단운영 계획하기 ································································································· 281
1) 집단실천의 사전 준비하기 / 281
2) 집단구성원의 선정과 욕구 및 문제파악 / 287
3) 집단실천의 목표수립 및 운영계획서 작성방법 / 291

10.3 집단실천 진행하기 ································································································· 296
1) 집단의 역동성 분석과 활용 / 296
2) 집단의 발달단계에 따른 과정 / 298

Chapter 11 사회복지실천과정의 종결단계(평가 및 종결)
11.1 사회복지실천과정의 평가단계 ··············································································· 312
1) 평가의 필요성과 제도 / 313 
2) 평가의 목적 / 315
3) 평가의 유형 / 316 4
) 평가의 내용 / 318
5) 평가의 측정방법 / 319
6) 평가의 분석도구 / 321
11.2 사회복지실천과정의 종결단계 ··············································································· 326
1) 종결의 유형 / 327 
2) 종결단계의 특징 / 328
3) 종결에 대한 감정처리 / 328
4) 문제상황 시 대처능력 활용 및 실천 재요청 / 329
5) 사례 의뢰 / 333 
6) 사후관리 / 337

Chapter 12 사회복지실천과정에 대한 기록
12.1 실천과정에 대한 기록의 필요성과 중요성 및 목적 ············································ 342
1) 실천과정에 대한 기록의 필요성과 중요성 / 342
2) 실천과정에 대한 기록의 목적 / 343
12.2 실천과정에 대한 기록의 실제 및 용도 ································································ 345
1) 실천과정에 대한 기록의 실제 / 345
2) 실천과정에 대한 기록의 용도 / 347
12.3 실천과정에 대한 기록의 내용과 기술 및 주의사항 ············································ 348
1) 실천과정에 대한 기록의 내용 / 348
2) 실천과정에 대한 기록의 기술 / 354
3) 실천과정에 대한 기록 작성 시 주의사항 / 356
12.4 실천과정에 대한 기록의 유형 및 기록물 관리 ··················································· 357
1) 실천과정에 대한 기록의 유형 / 357
2) 실천과정에 대한 기록물 관리 / 361

Chapter 13 사례관리
13.1 사례관리의 개념과 목적 및 기능 ········································································· 366
1) 사례관리의 개념 / 366 
2) 사례관리의 목적 / 368
3) 사례관리의 기능 / 369
13.2 사례관리의 발달과정 및 등장배경(필요성) ·························································· 372
1) 사례관리의 발달과정 / 372 
|\) 사례관리의 등장배경(필요성) / 374
13.3 사례관리의 구성요소와 실천원칙 및 사례관리자의 역할 ··································· 377
1) 사례관리의 구성요소 / 377 
2) 사례관리의 실천원칙 / 380
3) 사례관리자의 역할 / 381 
4) NASW의 사례관리자 기준 / 382
13.4 사례관리의 실천모형 및 실천과정 ······································································· 383
1) 외국의 사례관리 실천모형 / 384 
2) 한국의 사례관리 실천모형 / 385
3) 사례관리의 실천과정 / 388
❚ 참고문헌 / 395
❚ 찾아보기 / 400​

도서소개

최근 우리 사회는 산업화 및 의료기술 발달로 인해 고령화 사회로 접어들었다. 또한 생산 기반이 약화되는 저출산의 문제도 심각하다. 이러한 사회적인 요인으로 인해 사회복지도 여러 가지 사회문제와 국민들의 다양한 욕구 및 복잡한 문제에 부응하여 더 나은 삶의 질을 추구하려는 시대적 요구에 직면하게 되었다. 특히 영유아, 아동, 청소년, 여성, 노인, 장애인 등 다양한 영역에서 다양한 접근방법으로 욕구 및 문제에 대한 관심 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사회복지학문도 더욱 전문적이고 실천적인 학문으로 발전하고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2018년 11월에 한국사회복지교육협의회는 사회복지 관련 과목지침서를 표준으로 제공하여 학습하도록 하였다. 따라서 본 교재는 사회복지실천론 교과목지침서를 준용하여 구성하도록 노력하였으며, 현대사회의 환경변화에 따라 현장에서 직접 활용할 수 있는 이론과 방법들을 중심으로 구성하려고 노력하였다. 이 책은 대학의 15주 강의를 기준으로 총 13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장은 사회복지실천의 토대로 사회복지실천의 개념, 목적과 목표, 구성요소와 구성체계 및 대상, 전달 체계의 변화와 현장 등에 대한 내용을 다루었다. 제2장은 사회복지실천의 발달과정으로영국과 미국을 포함한 서구와 한국의 사회복지실천의 발달에 대한 내용을 다루었다. 또한 한국 사회복지실천의 발달에서 최근에 제시되고 있는 커뮤니티케어에 대한 등장및 내용도 다루었다. 제3장은 사회정의와 사회복지실천의 가치 및 윤리로 사회정의에 대한 이해, 사회복지 전문직의 가치와 윤리 및 자기성찰, 한국사회복지사의 윤리강령, 사회복지사의 자질과 역할 및 자기인식 등에 대한 내용을 다루었다. 제4장은 사회복지실천의 관점 및 통합적 접근방법에 대해서 다루었다. 제5장은 사회복지실천을 위한 관계 및 의사소통으로 관계와 의사소통의 전반적인 내용을 다루었다. 제6장은 사회복지실천과정의 초기단계(접수 및 자료수집)로 사회복지실천과정, 초기단계-접수, 초기단계-자료수집 등에 대해서 다루었다. 제7장은 사회복지실천과정의 사정 및 계획단계로 사정단계, 계획단계에 대한 전반적인 내용을 다루었다. 제8장은 사회복지실천과정의 실천단계로 I(개인체계)로 개인의 내적 변화를 위한 실천, 대인 관계적 변화를 위한 실천, 개인의 환경적 변화를 위한 실천에 대한 직·간접적 내용을 다루었다. 제9장은 사회복지실천과정의 실천단계 II(가족체계)로 가족체계 사정하기, 가족문제 변화를 위한 실천, 가족의 환경 변화를 위한 실천 등에 대한 내용을 다루었다. 제10장은 사회복지실천과정의 실천단계III(집단체계)로 집단에 대한 이해, 집단운영 계획하기, 집단실천 진행하기 등의 내용을 다루었다.

제11장은 사회복지실천과정의 종결단계(평가 및 종렬)로 평가의 필요성과 제도, 목적, 유형, 내용, 측정방법, 분석도구 등에 대해서 다루었고, 종결의 유형, 종결단계의 특징, 종결에 대한 감정처리, 문제 상황 시 대처능력 활용 및 실천 재요청, 사례 의뢰,사후관리 등의 내용을 다루었다. 제12장은 사회복지실천과정에 대한 기록으로 기록의 필요성과 중요성 및 목적, 실제 및 용도, 내용과 기술 및 주의사항, 유형 및 기록물 관리등의 내용을 다루었다. 마지막 제13장은 현장에서 많이 사용하는 사례관리로 사례관리의 개념과 목적 및 기능, 발달과정 및 등장배경(필요성), 구성요소와 실천원리 및 사례관리자의 역할, 실천모형 및 실천과정 등에 대해서 다루었다.

초판인 만큼 내용상의 편협함이나 미비함, 오류도 많을 것이지만 이에 대해서는 앞으로 계속 수정·보완할 예정이므로 솔직하고도 진지한 지도와 편달을 부탁드리는 바이다. ​​

저자소개

▪김현호
충북도립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교수

▪박선희
충북도립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겸임교수

▪김영일
강동대학교 창업경영학과 교수

▪박길남
서정대학교 사회복지행정과 교수

▪이규태
세경대학교 사회복지과 교수

▪이영희
대전과학기술대학교 보건복지과 교수

▪전대성
경북전문대학교 사회복지과 교수

▪최병태
수성대학교 보건복지경영과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