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 : 김상옥, 김순정, 김이영, 박은주, 서원경, 유경량, 유정혜, 이계윤, 이보라, 이정아, 이주영, 이혜진, 임영옥, 장은미, 지현경, 최명희, 최진원 저자: 김상옥, 김순정, 김이영, 박은주, 서원경, 유경량, 유정혜, 이계윤, 이보라, 이정아, 이주영, 이혜진, 임영옥, 장은미, 지현경, 최명희, 최진원 ISBN : 979-11-6126-582-7 ISBN: 979-11-6126-582-7 정가 : 23,000 정가: 23,000 출간일자 : 2024-03-05 출간일자: 2024-03-05
PART
1 인성·소양
Chapter 01 아동권리와 복지 13
1. 아동권리 이해와 아동중심보육 14
2. 어린이집 아동인권침해 사례분석 26
참고문헌 37
Chapter 02 원장의 직무 이해와 직무윤리 39
1. 원장의 직무와 윤리강령 인식 40
2. 윤리적 경영과 업무수행 능력 46
3. 원장의 자기관리 51
참고문헌 63
Chapter 03 보육철학과 사회적 책무 65
1. 보육철학과 보육전문가로서의 직업 정체성 66
2. 원장의 전문적 자질과 책무 71
참고문헌 87
PART
2 건강·안전
Chapter 04 안전사고 예방과 대응 91
1. 안전사고 방지 수칙과 응급처치 92
2. 어린이집의 안전관리와 평가지표 114
참고문헌 118
Chapter 05 보건위생과 감염 대응 119
1. 집단감염 예방과 위생관리 120
2. 위기대처와 사후관리 130
참고문헌 136
Chapter 06 건강과 영양관리 137
1. 급·간식 운영관리와 준수사항 138
2. 영유아의 영양과 건강관리 159
3. 교직원 영양과 건강관리 171
참고문헌 176
Chapter 07 아동학대 예방과 대처 177
1. 아동학대 근절을 위한 보육환경 178
2. 아동학대 관련 법령과 정책 193
3. 학대 신고의무자의 책무와 아동학대 대처방안 199
참고문헌 206
PART
3 전문지식·기술
Chapter 08 다문화가정 영유아 지원 209
1. 다문화아동과 가족의 실태와 보육지원 210
2. 지역사회 연계를 통한 다문화아동 양육지원 226
참고문헌 233
Chapter 09 장애통합보육의 운영관리 235
1. 장애위험 영유아의 선별과 중재 236
2. 장애아 통합보육프로그램 운영관리 241
3. 장애아 가족지원과 협력 255
참고문헌 267
Chapter 10 보육관련 법규와 보육정책 이해 269
1. 보육관련 법규와 보육지침서의 이해 270
2. 보육정책 동향과 보육행정 전달체계 289
참고문헌 306
Chapter 11 어린이집 조직관리와 리더십 307
1. 보육교직원 인사관리와 전문성 신장 308
2. 어린이집 조직특성 이해와 업무분장 328
3. 보육교직원의 갈등관리와 리더십 발달 335
참고문헌 348
Chapter 12 어린이집 재무회계 관리 349
1. 재무회계의 일반원칙과 관리 350
2. 재무회계 운영과정 352
참고문헌 379
Chapter 13 보육과정 운영계획과 보육프로그램 개발 381
1. 표준보육과정의 이해와 적용 382
2. 보육프로그램 개발과 운영 402
참고문헌 411
Chapter 14 영유아 발달지연과 부적응지도 413
1. 발달지연과 부적응행동 특성의 이해 414
2. 부적응행동과 긍정적 행동 지원 429
3. 발달지연 영유아 가정 및 유관기관 연계 437
참고문헌 442
Chapter 15 보육교사 장학의 이해 443
1. 장학의 필요성과 효과성 이해 444
2. 장학을 통한 일과 활동지원 451
3. 보육교사 발달에 적합한 원내장학 457
참고문헌 465
Chapter 16 부모참여와 부모상담 467
1. 부모참여 운영과 실제 468
2. 효율적인 부모상담 기술 487
3. 긴급복지지원제도의 이해와 적용 495
참고문헌 505
Chapter 17 어린이집의 지역사회 참여와 자원 활용 507
1. 지역사회에서의 어린이집 역할과 중요성 인식 508
2. 보육활동을 위한 지역사회 자원 활용 방안 515
참고문헌 529
우리나라의 보육정책은 1991년 「영유아보육법」이 제정된 이후 많은 국민들의 관심과 보육관계자들의 수고로 발전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유보통합의 국가정책 변화에 보육현장에서는 불투명한 미래로 인하여 불안해 하고 관망하는 분위기가 팽배한 것이 현실입니다.
현재의 보육적 흐름은 보육의 교육적 측면 강조, 아동의 인권 및 보육교직원 인권, 보육교직원의 자격 강화, 보육교직원의 인성교육, 성인지교육, 어린이집 현장에서의 성문제 등을 강화하여 새로운 정책과 방안들이 제안되고 시행되고 있습니다. 2015년 「영유아보육법」 부분개정을 통하여 보육교사의 인성과 전문성을 강화하기 위한 보육교사 양성교육과정 교과목 개편과 실습강화 방안이 개정되어 2016년 8월부터 시행되고 있습니다. 또한 보육교직원의 자질향상을 위한 보수교육 과정에서도 보육교사의 인성과 전문성 강화의 방향으로 전면적인 개정이 이루어졌습니다. 이후 장기미종사자들의 현장 감각과 새로운 학문을 위하여 현장에 재진입 적응교육을 시행하게 되었습
니다.(사)한국보육교사교육연합회도 국가의 보육정책과 보육현장의 요청을 고려하여 보육교사의 자질향상을 위한 노력을 꾸준히 해 왔습니다. 각 보육교사교육원 및 연합회 차원에서 다양한 보육발전을 위한 세미나, 학술대회, 정책제안, 정부 관계관들과 협의 등을 시행하였으며, 각 관련 분야의 전문가를 집필진으로 위촉하여 양질의 보육교사양성교육과정 교재를 편찬하고 개정해 왔습니다. 2016년 현직 보육교직원 대상의 보수교육과정의 표준교재를 편찬하고, 2020년은 정부의 정책 변화에 부응하여 재수정 보완하였고,2021년 보육사업 안내에 따라 성인지교육 및 어린이집 성 문제 등에 대한 내용을 추가하여 재출판하였습니다.2024년은 유보통합을 준비하며 시행되는 정책에 맞춰 보수교육 교재를 전면 개편하여 출판하게 되었습니다.
보육서비스는 무엇보다 현장적용의 중요성이 높다는 직무특성상 양성교육만으로는 그 자질과 전문성이 충분히 담보되기 어려우므로 보육교직원으로서 재직 이후에도 지속적인 보수교육을 통해 실질적인 직무역량을 향상시켜 나갈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합니다.
보수교육은 보육에 필요한 지식과 능력을 유지하고 개발하기 위해 정기적으로 받는 일반직무교육과 보육교사가 상위 자격을 취득하기 위해 받는 승급교육과 어린이집원장 자격취득을 위한 원장사전직무교육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특히 2017년 보수교육과정 개편에서는 다양한 경로를 통해 진입하고 경력이 서로 다른 보육교사의 요구를 수용하기 위하여 일반직무교육과정을 기본과정과 심화과정으로 구분하여 교과목의 이름과 내용에 다소간의 차이를 두고 심도 있게 재편하였습니다.
(사)한국보육교사교육연합회의 보수교육과정 표준교재 편찬에서는 어린이집원장 일반직무 기본교육과정, 보육교사 일반직무 기본교육과정, 보육교사 1급 승급교육과정, 보육교사 2급 승급교육과정을 위한 4권의 표준보수교재를 편찬하였고, 일반직무 심화과정으로 원장 및 교사과정과 어린이집원장 사전직무 교육과정 표준보수교재, 장기미종사자 교육교재 또한 편찬하였습니다.
2016년 편찬한 보수교육과정의 표준보수교재는 보건복지부 개정 보수교육과정의 교과목 개요와 각 교과목의 내용과 2020년 개정 내용, 2021년 어린이집 운영 안내에서 제기된 내용을 추가로 충실히 반영하였습니다.
2024년은 교과목 수부터 개요 그리고 각 교과목의 내용을 전면적으로 재편하였습니다.
(사)한국보육교사교육연합회에서는 재출판을 위해 교재출판위원회를 구성하여 관련분야 집필자를 집필진으로 위촉하였습니다. 집필진 위촉에 동참해 주시고, 표준보수교재 집필에 수고해 주신 보육교사교육원 교수님들, 보육 관련학과 및 유아교육학과 교수님들, 육아종합지원센터 센터장님들, 어린이집 원장님 등 여러 분야의 전문가 집필위원들께 진심으로 감사드리며, 계속적인 학문의 증진과 발전을 기원합니다.
끝으로 이 교재의 출판을 맡아 주신 양성원 출판사 대표님, 여러 차례 오래도록 진행된 논의에 열성을 보여 주신 출판위원님들, 원고를 교육과정의 내용에 따라 감수해 주신 감수위원님들께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2024년 3월
사)한국보육교사교육연합회대표회장 최병태
사)한국보육교사교육연합회공동회장 손세광
사)한국보육교사교육연합회직전회장 최영희
사)한국보육교직원보수교육기관협의회장/출판위원장 이만수
김상옥
국민대학교 교육심리상담전공(교육학박사)
숭실대학교 아동상담전공 조교수
김순정
광운대학교 행정학전공(행정학박사)
시립가람6단지 어린이집 원장
김이영
계명대학교 임상 및 상담심리전공(심리학박사)
수성대학교 유아교육과 교수
박은주
중부대학교 아동상담학 전공(교육학박사)
한강에일린어린이집 원장
서원경
서울여자대학교 유아교육전공(문학박사)
성남시육아종합지원센터장
유경량
건국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과 교육행정·경영전공
(교육학박사)
고양보육교사교육원 전임교수
김포대학교 아동보육과 외래교수
유정혜
경희대학교 아동학전공(박사수료)
한국방송통신대학 경기지역대학 유아교육과
현장실습 지도위원
경기고양보육교사교육원 전임강사
이계윤
숭실대학교 사회복지학과 대학원 복지행정전공
(문학박사)
사회적 협동조합 장보협 고문
케이스원격평생교육원 장애인복지론 담당교수
이보라
광운대학교 대학원 사회복지전공(행정학박사)
현, 협성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객원교수
이정아
건국대학교 일반대학원 교육학과 유아교육전공
(교육학박사)
국제대학교 유아교육과 교수
이주영
가톨릭관동대학교 사회복지전공(사회복지학박사)
건국대학교 유아교육전공(유아교육학박사수료)
서정대학교 사회복지상담과 교수
이혜진
한세대학교 사회복지전공(사회복지학박사)
한세대학교 겸임교수
임영옥
공주대학교 유아특수교육전공(교육학박사)
배재대학교 보육교사교육원 교수
장은미
이화여자대학교 교육학석사
협성대학교 사회복지학박사
현 협성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교수
지현경
연새대학교 의학교육학전공(의학교육학박사)
백석대학교 보건학부 응급구조학과 교수
최명희
이화여자대학교 유아교육과(문학박사)
신구대학교 아동보육과 교수
최진원
숙명여자대학교 유아교육전공(이학박사)
제주관광대학교 유아교육과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