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 : 한은숙 저자: 한은숙 ISBN : 979-11-6126-169-0 ISBN: 979-11-6126-169-0 정가 : 20,000 정가: 20,000 출간일자 : 2020-01-06 출간일자: 2020-01-06
Chapter 01 색의 아름다움을 찾아서
COLOR TOUR
Ⅰ. 현장연구의 진행과정 - 색을 찾기 위한 여행의 첫 발자국
Ⅱ. 현장 연구의 이론적 배경 - 색이란? (Color time !)
Ⅲ. 현장 연구의 탐구 범위
Ⅳ. 사람들과의 소통
Ⅴ. 구체적 활동 사례
Chapter 02 숲 속의 놀이터 ‘숲이 주는 선물’
Ⅰ. 현장 연구의 진행과정
Ⅱ. 현장 연구의 이론적 배경
Ⅲ. 사람들과의 소통
Ⅳ. 구체적 활동 사례
Ⅴ. 결론
Chapter 03 건강한 씨앗!
포도나무가 되다
Ⅰ. 현장 연구의 진행과정
Ⅱ. 현장 연구의 이론적 배경
Ⅲ. 현장연구의 탐구범위
Ⅳ. 사람들과의 소통
Ⅴ. 구체적 활동 사례
Chapter 04 내 마음의 12가지 씨앗
Ⅰ. 현장 연구의 진행과정
Ⅱ. 구체적 활동 사례
Chapter 05 똑!똑!~
살아숨쉬는 자연이 궁금해요!
Ⅰ. 현장 연구의 진행과정
Ⅱ. 현장 연구 탐구범위
Ⅲ. 사람들과의 소통
Ⅳ. 구체적 활동 사례
Ⅴ. 결론
Chapter 06 매체와의 만남,
우리만의 아뜰리에
Ⅰ. 현장연구의 진행과정
Ⅱ. 현장 연구의 이론적 배경
Ⅲ. 현장 연구의 탐구 범위
Ⅳ. 사람들과의 소통
Ⅴ. 구체적 활동 사례
Chapter 07 말하는 벽,
우리의 놀이가 보여요!
Ⅰ. 현장 연구의 진행 과정
Ⅱ. 현장 연구의 이론적 배경
Ⅲ. 현장 연구의 탐구범위
Ⅳ. 사람들과의 소통
Ⅴ. 구체적 활동 사례
Ⅵ. 결론
Chapter 08 “쫑긋”
반짝 감각으로 대화해요
Ⅰ. 현장 연구의 진행과정
Ⅱ. 현장 연구의 이론적 배경
Ⅲ. 사람들과의 소통
Ⅳ. 구체적 활동 사례
Ⅴ. 결론
Chapter 09 빛나라 상호작용
Ⅰ. 현장 연구의 진행과정
Ⅱ. 현장연구의 이론적 배경
Ⅲ. 현장연구의 탐구 범위
Ⅳ. 사람들과의 소통
Ⅴ. 구체적 활동 사례
Ⅵ. 결론
본저를 정리해나가면서 필자는 예비 유아교사를 교육함에 있어 궁극적으로 교사
스스로가 자신의 교육적 전문성을 어떻게 키워갈 것인가에 대한 치열한 고민과 노력
및 실천을 교사 양성 과정의 기간동안 자극받고 조금의 싹을 틔어 가기를 소망하는
마음으로 가득하다.
교사의 전문성을 신장시키기 위한 방안이 다양하겠으나 크게 기여하는 것 중의 하
나가 현장 교육 연구에 참여하는 것이라 생각하여왔다.
예비 유아교사의 경우에는 현장 교육 연구 활동의 주제와 내용을 수업관련 전문성
과 수업외 전문성을 연마할 수 있는 것이라면 크게 제한을 두지 않고 실행해보도록
이끌었다.
필자는 또한 예비유아교사들의 성장과정을 지켜보면서 저들이 수업관련 전문성과
수업외 전문성을 3~4년의 과정동안 길러가야 하는 것이 필수적이며 이 모든 것을 아
우르는 반성적 실행능력을 함께 체득해가도록 강조하면서 현장교육연구의 실행에도
수업내외 전문성, 반성적 사고 실행역량이 함께 통합되도록 주안점을 두며 지도하여
왔다.
본저의 교육현장 연구 실제는 졸업을 앞둔 3학년 학생들과 졸업학습 발표의 일환으
로 현장연구를 함께 진행하면서 얻은 결과물이다. 1, 2학년을 거치면서 수업 실습,
학교 현장 실습 등을 수행해온 지역의 유치원 수업시간을 활용하여 꾸준히 방문하면
서 관찰, 탐색, 문헌 및 자료수집, 보고서 기술, 결과물의 공유를 위한 전시자료 구안
등의 일련의 과정을 체계적으로 수행한 결과의 기록이라고 할 수 있다. 현장연구에
함께 협력한 기관은 그 기관이 위치해 있는 지역과 개별 유아교육기관으로서의 특성
이 교육과정과 연관하여서도 조화롭게 드러난 것이 무엇보다도 다채로웠다고 할 수
있다.
생태 자연 체험을 강조한 유치원에서 진행한 민성, 지현, 수진 그리고 보라, 다혜,
은혜/ 현장에서의 상호작용의 실제를 연구한 수연, 보림, 근민/ 또 다른 팀의 효주,
은지, 수지/ 레지오 에밀리아의 접근을 수십 년 동안 성공적으로 수행해 온 기관에서
의 수빈, 평화, 단비, 미나의 노력/ 레지오 현장에서의 교육 매체와 그 심미적 특성을
탐구한 한별, 민정, 정민, 수정/ 아름다운 색의 세계 프로젝트팀의 승현, 민주, 은진,
서린/ 인성교육과정의 특성화를 탐구한 알아, 현혜, 조윤정/ 놀이치료활동을 꾸준히
교육과정과 연계, 접목하여 실천해온 기관에서의 교육이 치료가 됨을 탐구한 선영,
배윤정이 실제적 공동 연구자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나는 현장 연구를 이끌면서 함께 현장 연구를 실천한 예비 유아교사들이 실행
과정에서 유념해야할 특성은 무엇인지 충분히 인식할 수 있도록 강조하였는데 그 내
용은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현장 연구를 통해서 꼭 배우기를 강조한 부분은 협력이었다. 협력은 참여하
는 예비 유아교사 및 개별 기관 상호간의 이해와 합의, 민주적 의사 결정과 공동의
행동을 의미하는 것으로써 이끌어가는 교수와 예비 유아교사 상호간에서도 서로 협
력하여 예비 유아교사 수준에 합당한 목적을 수립하고 함께 연구안을 계획하며 자료
수집과 분석 결과를 공유할 수 있도록 하였다.
둘째, 현장연구에서는 민주적인 의사소통 과정이 필요하다. 활동에 참여한 모든 구
성원들은 서로의 관심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자주 만나고 상호작용을 해야만 한다.
교수와 예비유아교사들은 각각의 다른 지위로부터 발생할 수 있는 인식과 가정의
차이로 인한 갈등을 피하기 위하여 전 과정을 통하여 자주 만나고 솔직한 의사소통이
매우 중요하다는 것을 인식하며 현장연구에 참여하도록 하였다.
셋째, 현장연구는 실제에 초점을 두는 것임을 잊지 않도록 강조하였다. 대부분의
현장연구는 실행자가 피부에 와닿게 중요하게 여기는 현장의 직접적 문제에 연구 주
제를 두어 실행하게 된다. 실행자가 처한 교실 현장 상황을 보다 더 깊이 있게 이해하
여 교실 상황을 보다 주도적으로 이끌고 변화시킬 목적이 분명한 연구이므로 교사들
에 의해 절실하다고 느끼는 교육 실제의 문제가 되어야 한다. 또한 현장 연구의 모든
단계에 참여한 교수와 예비유아교사들은 그 과정에서 각자 자료를 수집하고 필요한
것들을 제작하는 지식과 기술의 근거를 가지고 현장연구에 기여할 수 있었다.
넷째, 현장연구를 통하여 예비 유아 교사들의 전문성 신장에 어떻게 연계되는지를
살피며 피드백을 제공하였다. 앞에서도 강조하였지만 교사들은 현장연구를 통하여
그들의 문제를 해결하는데 유용한 새로운 지식을 습득할 수 있고 전문가로서의 일반
적인 지식의 토대를 넓힐 수 있으며, 연구기술을 배우게 된다. 즉 현장연구를 수행한
교사들은 새로운 지식을 획득하고 자신의 실제와 관련된 이론을 적용해보고 반성적
인 사고 기술과 사고 습관을 갖게 되며 전문가로서의 자기 확신을 수립하고 자신의
전문성개발에 대하여 관심을 가질 수 있도록 이끌었다.
이러한 모든 과정에 경민대학교 유아교육과 14학번 예비교사들과의 노력, 피드백
으로 이야기되는 수많은 오고가는 상호작용, 현장의 선배 교사들의 조언과 지도가
어우러져 작은 결실로 이 자료를 세상에 내놓는다.
아무쪼록 본서가 예비유아교사 및 현장 교사들의 현장 연구와 탐색에 신선한 가이
드가 되고 용기를 북돋는 마중물이 되기를 희망하며 함께 공동연구자가 되어준 경민
대학교 유아교육과 14학번 유아교사들을 다시 한번 기억하며 이름을 불러본다.
민성, 지현, 수진, 보라, 다혜, 은혜, 수연, 보림, 근민, 효주, 은지, 수지, 수빈, 평화,
단비, 미나, 한별, 민정, 정민, 수정, 승현, 민주, 은진, 서린, 알아, 현혜, 조윤정, 선영,
윤정
▪한은숙
중앙대학교 유아교육학과 학사
중앙대학교 유아교육학과 석 박사
베를린 자유대학교 한국학과 한국의 유아교육과 비교연구 교환교수
현 경민대학교 유아교육과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