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1장 사회복지실천의 이해
제 2장 사회복지실천의 역사
제 3장 사회복지실천의 가치와 윤리
제 4장 사회복지실천 현장 및 대상
제 5장 사회복지실천의 통합적 관점
제 6장 관계론
제 7장 면접론
제 8장 접수 및 자료수집
제 9장 사정
제 10장 계획과 개입
제 11장 평가와 종결
제 12장 사례관리
4차 산업혁명을 논하는 요즘 많은 기관들은 미래사회의 변화를 예측한 보고서를 내놓고 있다. 사회과학분야의 일관된 예측은 불평등의 심화로 기술을 소유한 자에게 부(富)가 현재보다 더 집중된다는 것이다. 이것은 불평등의 완화와 복잡해지는 인간의 욕구에 대응하기 위해 체계적인 사회복지시스템과 전문적인 사회복지사가 더욱 필요함을 의미한다.
모든 사람이 사회복지를 전공하지 않았지만 누구나 사회복지에 대해 한마디씩 할 수 있을 만큼 사회복지는 일상의 학문으로 자리매김하였다. 비록 대중의 관심을 받는다고 할지라도 모두가 사회복지를 실천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사회복지실천은 도움을 필요로 하는 사람들에게 전문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활동으로 전문이론과 기술 그리고 윤리에 기반한다. 과거 사회복지실천의 전문직 논쟁이 실천기술적인 측면에 있었다면, 현대 우리나라 사회복지 전문직에 대한 논쟁은 사회복지사의 공급팽창에 따른 질적인 부분에 있다. 이 책은 이러한 논쟁에 답을 하기 위해 출발하였으며, 사회복지사에게 꼭 필요한 이론을 담으려고 노력하였다.
이 책은 총 12장으로 구성되었다. 1장은 사회복지실천의 개념과 이념 및 철학을 통해 사회복지실천에 대한 개요를 조망하였으며, 2장은 서구와 우리나라 사회복지실천의 역사를 살펴보았다. 3장은 사회복지실천의 가치와 윤리를 다루면서 윤리적 갈등과 윤리적 딜레마 상황에서의 윤리원칙을, 4장은 사회복지실천 현장 및 실천의 대상, 사회복지시설의 다양한 유형을 다루었다. 5장에서는 인간과 환경을 동시에 바라보는 사회복지실천의 통합적 관점으로 체계이론과 생태체계이론을 살펴보고, 6장과 7장은 클라이언트와의 전문적인 관계를 위한 원칙, 관계형성의 장애요인 및 면접기술을 제시하였다. 8장부터 11장은 사회복지실천의 과정으로 8장은 접수 및 자료수집을 다루면서 자료수집 시 포함되어야 할 내용을, 9장은 클라이언트의 개인적인 문제 영역과 환경에 대한 사정 내용과 사정도구를 살펴보았다. 10장은 계획과 개입 단계로 계획의 목적과 목표, 개입 유형과 개입 기술을, 11장에서는 평가의 유형 및 기술, 종결 유형에 대해 다루었다. 그리고 12장에서는 클라이언트의 문제가 복잡해짐에 따라 실천 현장에서 비중 있게 다루는 사례관리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 책은 사회복지실천론이 갖고 있는 이론 중심적인 측면에 초점을 두고 쉽게 기술되었다. 본서에서 기술한 사회복지실천에 관한 기본이론을 충실하게 이해한 후, 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사회복지실천기술을 습득한다면 전문가에게 필요한 핵심적인 역량을 갖출 수 있을 것이다. 이 책을 일독하는 독자들은 이론과 기술의 갑옷을 입은 전문가로서, 부디 시대가 필요로 하는 사회복지사가 되길 바란다.
▪최은희
충북대학교 대학원 문학박사
현 충북연구원 연구위원
저서 및 논문 사회복지실천기술론(2016) 패널분석을 이용한 합계출산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분석(2016) 외 다수
▪한애경
충북대학교 대학원 문학박사
현 청주시복지재단 연구원
저서 및 논문 청주시 양성평등 기본계획 수립연구(2016) 근로빈곤층의 빈곤지위 변
화 결정요인 성별과 빈곤유형을 중심으로(2015) 외 다수
▪오정아
충북대학교 대학원 문학박사
현 충북대학교 아동복지학과 백석문화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강사
저서 및 논문 가족복지론(2015) 청소년의 학교폭력 가해행동에 관한 영향요인
(2016)외 다수
▪김경은
충북대학교 대학원 문학박사
현 건신대학원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교수
저서 및 논문 직장인의 스마트폰중독 관련변인연구(2016) 중학생의 사이버폭력 피
해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요인(2016) 외 다수
▪조윤정
충북대학교 대학원 박사 수료
전 충북여성발전센터 한국보건복지인력개발원 과제연구원
현 서울디지털대학교 평생교육원 운영교수
저서 및 논문 충북청년여성의 고용현황 및 욕구조사
(2016),
Estimating the Prevalence Rate of Child Physical and Psychological Maltreatment in South Korea외 다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