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PART 1 | 보육교사직의 특성
Chapter 01 보육교사의 역할과 권리
1. 보육교사의 역할
2. 보육교사의 권리와 의무
Chapter 02 보육교사의 인성
1. 인성과 보육교사의 인성
2. 보육교사의 자질
3. 보육교사직의 이해
Chapter 03 보육철학 및 윤리
1. 보육사상
2. 보육교사의 윤리
| PART 2 | 보육교사의 직무수행
Chapter 04 보육교직원의 임면과 복무
1. 보육교직원의 자격
2. 보육교직원의 임면
3. 보육교직원의 복무관리
Chapter 05 보육실 운영관리
1. 보육실 환경 구성
2. 보육실 안전 및 위생 관리
Chapter 06 어린이집 하루일과 운영
1. 영아반의 하루일과 운영
2. 유아반의 하루일과 운영
Chapter 07 영유아 이해 및 지도
1. 영유아 이해
2. 영유아 지도
3. 문제 상황에서의 영유아 지도
Chapter 08 딜레마와 갈등관리
1. 딜레마와 보육현장
2. 갈등관리
3. 의사소통
Chapter 09 보육교직원과의 협력
1. 보육교직원 협력의 의미
2. 협력의 방해요인
3. 협력의 긍정적인 효과
4. 원장과 보육교사의 협력을 위한 역할과 태도
5. 협력을 위한 의사소통 기술
6. 효과적인 의사소통을 위한 3요소
Chapter 10 가정 및 지역사회와의 협력
1. 가정과의 연계
2. 지역사회 연계방법
| PART 3 | 보육교사의 역량개발
Chapter 11 보육교사의 역량개발
1. 자기개발
2. 전문성개발
Chapter 12 보육교사의 스트레스관리
1. 스트레스관리
2. 업무계획
3. 시간관리
정부는 인간으로서의 존엄과 가치를 보장하고 건전하고 올바른 인성(人性)을 갖춘 국민을 육성하여 국가 사회 발전에 이바지하기 위해 인성교육진흥법 을 만들었다. 이 법에 따라 유치원, 초·중·고등학교 교사는 의무적으로, 자신의 내면을 바르고 건전하게 가꾸고 다른 사람·공동체·자연과 더불어 살아가는 데 필요한 인간다운 성품과 역량을 기르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인성교육을 받아야 한다.
그러나 어린이집, 놀이방 등 보육시설이나 아동복지시설에서 위탁 영유아를 교육·보호하는 보육교사는 인성교육진흥법 상의 교원에 포함되지 않아 인성교육 의무이수 대상이 아니다.
최근 보육현장에서 발생하는 아동학대는 사회적으로 큰 반향(反響)을 일으키고 있다. 따라서 아동학대 예방을 위해 보육교사에 대한 인성교육 필요성이 줄기차게 제기되고 있다. 인성 함양 및 업무 스트레스 관리가 이루어지면 아동학대 예방 효과를 기대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런데 한국보육진흥원 자료에 따르면, 최근 2년간 한국보육진흥원 자체 인성교육 프로그램을 이수한 보육교사는 전체의 약 5%에 불과하다. 유치원 교사는 인성교육진흥법 에 따라 연 60시간(서울시 기준)의 직무연수 이외에 4시간의 인성교육을 의무적으로 이수하도록 하고 있다.
이처럼 보육교사의 전문성 강화는 어제오늘의 이슈가 아니다. 보육교사의 전문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대학에서 보육 관련 전문지식은 물론 인성 함양으로 영유아의 인권에 대한 확고한 신념을 갖추어야 한다. 왜냐하면, 보육교사는 영유아가 건강하게 성장하도록 그들의 권리를 존중해야 할 책임과 의무가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책에서는 보육교사의 역할, 인성과 윤리, 딜레마와 갈등관리, 역량 등에 대해 다루고 있다. 이는 보건복지부·육아정책연구소의 보육교사 양성과정 및 보육실습 매뉴얼 연구 지침을 최대한 반영한 결과다.
이 책을 통해 보육현장에 나갈 예비 보육교사의 전문성 함양에 보탬이 되기를 기대한다. 이를 위해 집필진은 현장과 학계에 있는 분으로 구성하였다. 그러나 공동 집필은 많은 장점에도 불구하고 약간의 단점도 있을 수밖에 없다. 따라서 장점은 살리고 단점은 독자들의 몫으로 돌린다. 출간을 위해 애써준 양성원 직원들의 노고에 감사드린다.
▪ 정희정 백석문화대학교 사회복지학부 교수
▪ 박주현 백석문화대학교 사회복지학부 및 백석대학교 평생교육원 교수
▪ 모아라 연성대학교 사회복지과 아동보육복지전공 교수
▪ 박은미 서울시보육서비스지원센터 센터장
▪ 이소현 경동대학교 유아교육과 교수
▪ 조아라 우송정보대학 사회복지과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