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 1 다문화의 이해
01 문화 및 다문화의 이해
1. 문화와 다문화의 의미
2. 다문화 이론
3. 다문화에 대한 다양한 견해
02 다문화사회의 이해
1. 다문화사회의 의미 및 현황
2. 다문화사회의 특징
3. 다문화사회의 전망과 과제
03 다문화교육의 이해
1. 다문화교육의 의미
2. 다문화교육의 필요성
3. 다문화교육의 영역 및 유형
4. 다문화교육의 운영 실제
04 다문화교육과 다문화 역량
1. 다문화 역량의 정의 및 구성요소
2. 다문화 교수 역량의 정의 및 구성요소
3. 다문화교육 실현을 위한 다문화 교수 역량
PART 2 다문화교육 관련 법규 및 정책
05 다문화 관련 법규 및 제도
1. 다문화 관련 법규
2. 다문화 관련 제도
06 한국의 다문화 교육정책
1. 중앙부처 다문화 교육정책
2. 시·도교육청 다문화 교육정책
07 외국의 다문화 교육정책
1. 외국의 다문화 교육정책 비교
2. 주요 국가의 다문화 교육정책
PART 3 다문화교육의 실제
08 다문화 교육과정과 교수·학습 프로그램
1. 다문화 교육과정의 이해
2. 다문화 교육과정의 구성 및 개발 모형
3. 다문화교육의 교수·학습 프로그램
09 다문화 교육과정 운영의 실제
1. 국가수준 교육과정에서의 다문화교육
2. 다문화교육 지도 영역에 따른 수업설계의 실제
10 다문화 학생을 위한 외국어교육
1. 다문화사회의 언어정책
2. 세계 속의 한국어교육
3. 국내의 한국어교육
11 다문화 학생을 위한 상담
1. 다문화 상담의 의미
2. 다문화 상담 역량
3. 한국에서의 다문화 상담
4. 다문화 상담의 실제
12 다문화교육 프로그램의 실제
1. 다문화교육 프로그램의 이해
2. 교육부의 다문화교육 프로그램
3. 여성가족부의 다문화교육 프로그램
4. 법무부의 다문화교육 프로그램
현대사회는 글로벌 사회 내지는 글로벌화로 지칭되고 있다. 이 글로벌화는 자본, 기술, 정보 및 국경 등을 초월한 사람들의 통합으로서, 어떤 의미에서는 단일 글로벌 시장이 포함된 지구촌(global village)을 말하며, 급속한 사회변화와 과학기술의 발달로 인해 국가차원을 벗어나 국가 간에 밀접한 상호교류를 통하여 삶의 장을 더 큰 세계로 넓혀 나가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글로벌 사회 및 다문화사회를 맞이하여 한국 사회에서도 다양한 인종 및 민족 집단의 유입이 점차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즉, 국제결혼의 증가로 인하여 다문화가족 자녀들이 많이 출생되고 있으며, 한국에서 공부하기 위해 많은 유학생이 입국하여 거주하는 상황이 나타나고, 특히 한국 사회에서 일하고자 하는 외국인 근로자들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행정안전부 발표 자료(2020년 11월 1일 기준)에 의하면, 국내 외국인 주민 수는 2,146,748명(총인구 51,829,136명 대비 4.1%)으로 2006년 536,627명(총인구 대비 1.1%)에 비해서 4배 정도 증가하였다. 또한 외국인 주민 자녀 만 18세 이하의 학생 266,321명 중에서 만 6세 이하 미취학 아동이 105,939명(39.8%), 초등학생(만 7~12세)은 107,265명(40.3%), 중·고등학생은 53,117명(19.9%) 등이었다. 이처럼 국내 거주 외국인 주민 수와 자녀 수가 점차 증가하고 있으며, 이로 인하여 학교현장에서는 다문화 학생들의 의사소통의 어려움, 시험성적에 대한 부담, 학교부적응 등의 다양한 문제점이 제기되고 있다.
이러한 다양한 문제점에 대한 해결방안을 탐색하고, 대학생으로서 다양한 국가의 사람들을 배려하고 존중하는 태도를 함양하며, 사범대학 및 일반대학 학생들이 다문화교육을 바라보는 인식 및 다문화에 대한 보편타당한 관점을 가질 수 있도록 교육하고 지도한다는 차원에서 『다문화사회와 교육』 교재를 집필하게 되었다.
이 책은 총 12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부는 다문화의 이해로서, 제1장 문화 및 다문화의 이해, 제2장 다문화사회의 이해, 제3장 다문화교육의 이해, 제4장 다문화교육과 다문화 역량 등 네 개의 장이며, 제2부는 다문화교육 관련 법규 및 정책으로서, 제5장 다문화 관련 법규 및 제도, 제6장 한국의 다문화 교육정책, 제7장 외국의 다문화 교육정책 등 3개의 장이며, 제3부는 다문화교육의 실제로서, 제8장 다문화 교육과정과 교수·학습 프로그램, 제9장 다문화 교육과정 운영의 실제, 제10장 다문화 학생을 위한 외국어교육, 제11장 다문화 학생을 위한 상담, 제12장 다문화교육 프로그램의 실제 등 다섯 5개 장이다.
이 책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다문화 및 다문화교육 관련 내용을 최근의 실제적인 자료를 업데이트하는 데 있어서 다소 어려움이 있었으며, 막상 이 책을 출간하려고 하니 처음 의도했던 것과 차이가 있어서 다소 아쉬움이 많이 남는다. 하지만 앞으로 계속적인 수정 및 보완을 통해 다문화사회에서 요구되고 변화하는 다양한 이론 및 현황을지속적으로 개정하려고 노력할 것이다. 『다문화사회와 교육』이라는 책을 통해 대학생 및 독자 여러분이 다문화사회 및 다문화교육에 대한 다양한 인식의 변화가 있기를 바라며, 한국 사회에서 모든 사람이 함께 배려하고 공존하는 데 미력하나마 기여하기를 기대해 본다.
끝으로, 이 책을 끝까지 수정하고 보완해 주신 공동 집필진인 신재한 교수님, 권하정 박사님, 강정숙 박사님께 감사드리며, 이 책을 집필할 수 있도록 기꺼이 출판해 주신 양성원 강철원 대표님과 보다 좋은 책을 출판하기 위해 노력해 주신 양성원 가족 여러분께 진심으로 감사드린다
▪이 기 용
경북대학교 대학원 교육학박사
현, 안동대학교 교수
▪강 정 숙
중원대학교 대학원 교육학박사
현, 한국교통대학교 강사
▪권 하 정
중원대학교 대학원 교육학박사
현, 강릉원주대학교 강사
▪신 재 한
경북대학교 대학원 교육학박사
현,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