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Ⅰ부 청소년문화의 기초
제1장 현대사회와 청소년
제2장 문화 이론과 청소년문화
제3장 청소년의 심리발달과 정신건강
제Ⅱ부 청소년문화의 실제
제4장 청소년과 여가문화
제5장 청소년과 성문화
제6장 청소년의 의복문화
제7장 청소년의 음식문화
제8장 청소년의 인터넷 문화
제9장 청소년과 스마트폰 문화
제10장 청소년과 학습(학교)문화
제11장 청소년과 다문화
제12장 청소년과 팬클럽문화
제Ⅲ부 청소년문화의 지도와 방향
제13장 청소년의 비행문화
제14장 청소년지도의 과제
참고문헌
찾아보기
요즘 시시각각 변하는 정보의 홍수와 급속한 변화의 시대에 우리는 살고 있습니다. 오늘도 새로운 역사의 흐름 속에서 문화 또한 급한 물살을 타고 흘러가고 있습니다. 이러한 역사 속에서 희망을 안고 매일 급속도로 성장해가는 청소년들이 구심점에 또한 서 있음을 볼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청소년문화론에 있어서도 변화 속에 다시 새로운 뿌리를 튼실하게 내려 보고자 하는 소박한 바람으로 다시금 청소년문화론의 집필을 하게 되었습니다. 어린이가 자라 어른이 되고 그 어른이 다시 다음 세대에 좋은 영향을 끼쳐나가도록 청소년들을 일선에서 직접 지도하시는 존경하는 교수님들과 청소년지도사 과정을 준비하는 모든 분들에게 조금이나마 힘이 되고 도움이 되기를 다시 한 번 더 소망하며, 사랑과 배려의 자양분을 통해 자라나는 무한 가능성의 청소년들을 향하여 우리의 갈 길을 재촉해 봅니다. 우리는 청소년들 각자의 개별성을 인정하고 존중하며 질풍노도의 특성에 맞는 맞춤지도로통하여 사랑과 관심을 가지고 성장하도록 돕는 일에 그 실제와 전문지식의 방향이 바람직한 결과로 나타나기를 바랍니다.
본서는 최근의 통계 자료와 도표, 참고문헌 등을 제시하므로, 현장중심의 현실대응을 위한 강의가 되도록 심혈을 기울이고자 했습니다. 그러므로 본서의 구성은 다음과 같습니다.
제 1부, 제 2부, 제 3부로 나누었으며, 제 1부는 청소년문화의 기초로 구성을 해서 현대사회와 청소년, 문화 이론과 청소년문화, 청소년의 심리발달과 정신건강으로 청소년들을 이해하고 그들의 문제를 통해 도울 수 있는 방향으로 조명해 보았습니다.
제 2부에서는 요즘 청소년들의 문화를 알아보고, 실체를 이해하며, 지도할 수 있는 전문적 수월성을 위하여 청소년과 여가문화, 청소년과 성문화, 청소년의 의복문화, 청소년의 음식문화, 청소년의 인터넷 문화, 청소년의 스마트폰 문화, 청소년과 학습(학교)문화, 청소년과 다문화, 청소년과 팬클럽문화 등, 각 문화의 개념을 이해하므로 청소년문화의 방향성과 과제를 조망해 보고자 노력하였습니다.
제 3부는 청소년문화의 지도와 방향으로서 청소년의 비행문화, 청소년지도의 과제를 다룸으로써 청소년문화의 실제원리를 통해 청소년문제를 해결하고자 했습니다. 이로써 다년간 청소년지도 현장에서 청소년들을 직접지도하고 경험한 내용들을 통해 청소년지도사의 진로의 방향을 새롭게 전개하므로 청소년지도사 과정의 한 분야에 전문성을 미흡하나마 제시하였습니다.
이로써 청소년문화론의 전체적인 방향성과 대략을 살펴보았습니다. 청소년 전문분야인 한 부분을 통해 꿈과 소망을 가지고 나아가는 청소년지도자들에게 더 큰 비전과 소명의식을 심어 훌륭한 인재들이 더욱 발굴될 수 있는 계기와 전진이 있으시길 바랍니다.
본서를 집필하기까지 제 미력한 삶에 끝없는 용기와 비전을 날마다 공급해 주시는 우리 주 하나님께 오늘도 영광을 돌립니다. 또한 아낌없는 배려와 사랑으로 저의 집필을 도우신 양성원의 사랑 많으신 직원들과 강철원사장님께 진심한 감사를 돌려 드립니다.
▪ 성 열 준
한영신학대학교 대학원 졸업(철학 박사)
연세대학교 정경대학원 사회복지석사(국제복지 전공)
현, 경희사이버대학교 NGO학과 교수
청소년지도사 자격검정문제출제위원, (사)국제재난구조복지회 부설 국제행복가정상담소 소장
▪ 오 진 석
평택대학교 상담학박사
현, 미국 USWA대학교 상담학 교수
뉴라이프 상담코칭센터 대표
▪ 강 병 연
원광대학교 대학원 졸업(사회복지학 박사)
전, 광주대학교 사회복지학부 겸임교수, 금강대학교 사회복지학전공 겸임교수
현, 한국청소년인권센터 이사장, 광주북구청소년수련관 관장
▪ 이 채 식
서울대학교 대학원 졸업(교육학 박사)
현, 대구한의대학교 청소년교육상담학과 교수
▪ 강 세 현
연세대학교 대학원 졸업(문학 박사)
현, 제주한라대학교 사회복지과 교수
▪ 황 수 주
광주대학교 언론홍보대학원 졸업(언론학 석사)
현, 광주북구청소년상담복지센터장
광주북구학교밖청소년지원센터장
▪ 김 종 찬
대구대학교 영어영문학 박사과정 수료
대구대학교 사회복지학 석사
현, 제주관광대학교 사회복지과 교수
▪ 김 재 원
단국대학교 대학원 행정학 박사(복지행정 전공)
현, 서정대학교 아동청소년보육과 교수